본문 바로가기
노무와 인사/노동법

[노동법] 조합원의 지위 및 권리의무

by kanzo 2024. 1. 23.
반응형

 kanzo의 신변잡기적 블로그 

노동법 정리 

 
 

 

노동법 학습 상 중요 부분만 정리 

노동조합원의 지위

 

Ⅰ. 의의 
   - 자유로운 조직과 가입 (헌법 제33조, 노조법 제5조 제1항) 
 
Ⅱ. 조합원의 자격과 종류
   1. 자격
      (1) 법령 : 노조법상 근로자 (제2조 제1호)
      (2) 규약 : 자율적 결정 
          - 조합원에 관한 사항 = 필요적 기재사항 (노조법 제11조 제4호) 
      (3) 단체협약 (조합원범위조항)
   2. 조합원의 종류 
     - 종사조합원
     - 비종사조합원
     - 종사간주조합원 (해고자)
 
Ⅲ. 조합원 지위의 취득
   1. 조합원 지위 취득 사유 
     (1)  노동조합의 조직 
     (2) 노조 가입 
         - 법적 성질 : 청약과 승낙
         - 조합원 자격 갖춘 근로자 가입 함부로 거부 허용 X 
         - 유니온 숍 협정 (가입강제) 있을 시 가입 거부하면 해고로 직결될 우려

    2. 지위 취득 효과 

       - 노동3권 보장 

       - 임원 선거권/피선거권

       - 총회출석/의결권 및 총회소집요구권 등 

 

Ⅳ. 조합원 지위 상실 

   - 탈퇴의 자유 O

   - 조합원으로서 권리의무 상실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