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노무와 인사/노동법

[노동법] 노동조합의 조직변동

by kanzo 2024. 1. 28.
반응형

 kanzo의 신변잡기적 블로그 

노동법 정리 

 
 
 
 
 

노동법 학습 상 중요 부분만 정리 

노동조합의 조직변동

 

Ⅰ. 서설 
   - 조직변동 : 노조 조직상 변화를 가져오는 모든 현상 

 

Ⅱ. 노동조합의 합병과 분할 
   1. 노조 합병 
     (1) 의의 : 2개 이상 노조 합의 근거 ~ 1개 노조 통합 조직현상 
         - 신설합병 : 기존 노조 통합하여 노조 신설
         - 흡수합병 : 다른 노조 흡수하여 존속 
     (2) 절차 
         - 합병 요건 : 합병계약-합병의결(노조법 제16조 제1항 제7호)-규약 제정or변경 
         - 신설합병 : 노조 실질적(노조법 제2조 제4호) 요건 갖출 시 효력발생 
      (3) 효과 
         - 합병 전후 실질적 동일성 인정 
         - 소멸 노조 합원, 산, 체협약 합병 후 노조 포괄승계  
     2. 노조 분할 
       (1) 의의
       (2) 절차 : 분할 의결(노조법 제16조 제1항 제7호) 

       (3) 효과 : 구 노조 조합원 및 재산관계 신설 노조 승계(실질적 동일성x, 단체협약 승계x)

Ⅲ. 조직형태 변경 
     1. 의의 
         - 조직형태 변경 : 노조 존속 중 실질적 동일성 유지하며 조직 외형 변경 
         - 종전 법률 관계 신 조직형태의 노조(산별노조 등)에 그대로 유지/승계 될 수 있도록 한 것 

     2. 조직형태 변경 내용 

       (1) 요건 

          1) 총회 또는 대의원회 의결(절차적 요건) : 총회 또는 대의원회 특별결의

              -  규약 개정 수반 → 직접/비밀/무기명 투표 必 

           2) 실질적 동일성 유지(실질적 요건) : 규약 변경의 대상에 불과 

       (2) 효과 

           - 변경 후 노조는 변경 전 노조 법적지위 그대로 승계(조합원, 재산관계, 단체협약)

           - 소송절차 수계 가능 

     3. 초기업적 노조의 지회 등 조직형태 변경 주체성 

       (1) 문제점  

            - 초기업적 노조(산별노조 등)의 지회가 조직형태 변경절차 통해 기업별 노조 전환 가능한 지 

            - 지회 등은 단체성은 갖추었으나, 협약체결능력 X (조직형태 변경 주체 = 노조)

        (2) 최근 전원합의체 판결 

            1) 원칙 : 부정 

                - 조직형태 변경 주체 = 노조, 노조 내부 단순 조직(지회 등)은 적용 X 

             2) 예외 : 제한적 인정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- 기업별 노조의 실질에 준하는 경우 (자적 규&집행관 가지고 립단체로서 동)

                 - 노조 유사 독립 근로자 단체 ~ 비법인 사단인 경우 - 결의 통해 노조전환 가능  

Ⅳ. 노조 해산 

   1. 의의 : 본래활동 중지 ~ 소멸 위한 청산 과정 돌입 (청산절차 종료 시 소멸)

   2. 노조법상 해산사유 

      - 규약에서 정한 해산사유 발생

      - 합병 또는 분할로 소멸

      - 총회 또는 대의원회 해산결의 있는 경우

      - 휴면노조 된 경우 - 임원 없고, 노조활동 1년이상 X(노조법 제28조 제1항)

      - 단체성 상실(조합원 1인만 남음) 

 

 

 

 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