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노무와 인사/노동법

[노동법] 단체교섭의 주체

by kanzo 2024. 1. 29.
반응형

 kanzo의 신변잡기적 블로그 

노동법 정리 

 
 
 

 

노동법 학습 상 중요 부분만 정리 

 

단체교섭의 주체

 

Ⅰ. 서설
  1. 단체교섭 의의 
    - 단체교섭 : 노조 등 근로자단체 교섭대표 통해 사용자와 근로조건 등 사항~합의 도달목적 교섭 진행 

    -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, 정상 단체교섭권 행사 민/형사상 책임 면제(노조법 제3조, 제4조)

    - 정당 이유 없이 거부 X 

    - 협상(사실행위) + 단체협약(법률행위)

    2. 단체교섭 주체 

     - 노조 VS 사용자(단체)

     - 당사자 : 자신의 이름으로 단체교섭 + 단체협약 체결

     - 담당자 : 실제 교섭행위 + 교섭실무 

 
Ⅱ.단체교섭 당사자
    1. 의의 : 자신의 이름으로 단체교섭 + 법적효과 귀속 
    2. 근로자측 당사자 
      (1) 단위노조 
      (2) 법외노조 : 노조실체 가지면 O 
      (3) 지부/분회 : 제한적 긍정설 
          - 원칙 : X(단위노조 아니므로)
          - 예외 : 독자적 규약 및 집행관 가지고립조직체로 (협약체결능력 있으면 O)

      (4) 쟁의단 : O(예 : 비대위)

      (5) 유일교섭단체조항 : 무효(노조원 아닌 근로자 단결권&단체교섭권 침해)

      3. 사용자측 당사자 : 사업주(교섭의무 부담자)

 
Ⅲ. 단체교섭 담당자 
   1. 의의 : 사실행위로서 단체교섭 ~ 단협작성자 

   2. 근로자측 교섭담당자 

    (1) 본래의 교섭담당자 : 노조대표(교섭대표노조 대표자)

    (2) 노조로부터 위임받은 자

       - 교섭단위 결정(노조법 제29조 제3항
       - 교섭사항&권한/범위 정해 위임, 상대방 통보

    (3) 단체교섭권한 위임과 경합 

       - 단위노조->상부노조(연합단체) 위임 시, 단위노조 교섭권한 소멸여부 문제

       → 판례 : 법상 임(사무처리 위임), 단위노조 단체교섭권한 복하여 합적으로 남아있음   

   3. 사용자 측 교섭담당자 

     (1) 본래의 교섭담당자 : 본인(사업주 개인 OR 사업경영담당자)

     (2) 위임받은 자 

     (3) 회생절차개시결정 이후 협약체결권자 : 관리인 사용자 지위 

 

 

 

 

 

 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