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노무와 인사/노동법

[노동법] 부당해고 등 구제절차

by kanzo 2024. 1. 4.
반응형

 kanzo의 신변잡기적 블로그 

노동법 정리 

 
 
 
 
 
 

 

노동법 학습 상 중요 부분만 정리 

부당해고 등 구제절차

 

Ⅰ. 의의 
  - 행정적 구제 (노동위원회)
  - 사법적/행정적 구제 선택 or 동시진행 가능 

 

Ⅱ. 행정적 구제
  1. 의의 : 간이/신속/저렴
  2. 부당해고 등 구제절차  : 초심 (지노위) - 재심 (중노위) - 행정소송 

    -  초심/재심절차 : 신청 - 조사&심문 - 판정 

    - 제척기간 : 3개월 (기산일 : 해고를 하려는 날)

    - 판정 : 각하, 기각, 구제명령

  3. 구제명령 내용 및  효력 

    (1) 내용 

        1) 원칙 (원상회복주의) : 원직복직 & 임금상당액 (부당해고 기간) 

        2) 예외 (금전보상명령) 

          - 원직복직 가능 : 임금 상당액 이상 금품 지급명령 

          - 원직복직 불가 : 임금상당액 해당 금품 지급명령 

    (2) 확정 및 효력

         1) 구제명령 확정 

            - 지노위 판정 O : 통지 10일 이내 중노위 재심 신청 

            - 중노위 판정 O : 판정서 송달 15일 내 취소소송 제기 (피고 : 중노위원장)

          2) 구제명령 불이행 제재 

             - 공법상 의무부담 / 사법상 법률관계 변동 X 

 
Ⅲ.  구제이익 
  1. 구제절차 진행 중 복직 불가능 사정 발생 
    (1) 문제점 : 진행 중 근로관계 종료하여 복직 불가능 사정 발행 ~ 구제이익 인정여부 문제됨
    (2) 판례 : 인정 
       - 부당해고 구제명령제도 취지 : 원상회복 
       - 근로자 지위회복 + 임금 상당액 지급 포함 
       - 원직 복직명령 - 임금 지급 -> 어느 것이 더 우월하지 않음
   (3) 근기법 개정 : 제30조 제4항 
 2.  구제신청 당시 근로관계 종료 
   (1) 판례 : 구제이익 소멸 
      - 구제명령제도 본래 보호범위(원상회복) 벗어남 -> 손해배상 목적으로 행정 구제절차 이용하게 됨 
      - 이미 근로계약관계 종료 -> 근로자 범위 포함 X 
    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