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노무와 인사/노동법

[노동법] 사업변동과 노동관계 - 1절 영업양도

by kanzo 2023. 12. 10.
반응형

 kanzo의 신변잡기적 블로그 

서론 

 

노동법 학습 상 중요 부분만 정리 

 

사업변동과 노동관계 - 1절 영업양도 

 

제1절 영업양도

 

학습 포인트 

Ⅰ.  영업양도 존재 여부

Ⅱ . 고용승계 여부  →  중요

Ⅲ . 승계거부 가능성 여부

 

Ⅰ. 영업양도 존재여부 

   1. 영업양도 의미 :  인적/물적 조직 동일성 유지하면서 일체로서 이전 (인물조동일이)

       -영업 일부 양도 가능

   2. 영업 동일성 여부

   3. 자산매매와 구별  

 

Ⅱ. 영업양도 시 근로관계 승계 여부  

  1. 근로관계 승계 여부

      - 상법 제235조 (합병의 효과) 

      - 영업양도 시 양도인이 양도인-근로자 근로관계 승계 or 선택적 배제 가능여부 문제됨 

     (2) 학설과 판례 

          1) 특약필요설 

          2) 원칙승계설 - 판례  (원포승/특실해정체)

              - 원칙적으로 양수인에게 포괄적 승계

              - 근로관계 일부 배제특약 O : 가능하나, 실질적으로 해고효과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근기법 제23조 제1항 소정 정당한 이유 있어야 유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영업양도 자체만을 사유로 근로자 해고 ~ 정당성 X 

  2. 근로관계 승계 범위

   (1) 일부양도 : 양도계약 체결일 당시 해당 사업부에 근무 중인 근로자 한정 

         - 예외 : 양수인 악의 (양수 당시 무효임을 알면) → 승계 

  (2) 전부양도 

      근로자 영업양도일 이전 정당이유 없이 해고된 경우     

    1) 근로관계 여전히 유효 

     2) 원직 복직 사실상 불가능 (해고 이후 영업 전부 양도) → 양수인 근로관계 원칙적 승계  

     3) 영업양도 방식을 통한 자유로운 해고 가능하다면  → 근기법 제23조 제1항 (해고사유 제한) 입법취지 잠탈 ~ 부당   

  3. 근로관계 단절 여부 

 

Ⅲ. 영업양도와 승계거부권  

  1. 의의 : 영업양도 → 근로제공의 상대방 변경

                → 민법 제657조 제1항 (근로계약의 일신전속성)에 비추어,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근로자 근로관계 승계 거부 가능여부 문제됨 

  2. 승계거부 유형  - 잔모단 

    1) 양도기업 잔류 

     2) 모두 퇴직 

     3) 계속근로관계 단절 (양도기업 퇴직 → 양수기업 새로이 입사) 

     ※ 취업 희망의사 승계취업 확정 전 철회 가능 

    3. 반대의사표시 기한 : 안 날로부터 상당 기간 내 표시 

 

Ⅳ. 영업양도와 경영상 해고 

  1. 경영악화 방지위한 영업양도 - 근로승계의 예외

  2. 영업의 일부양도와 승계거부 - 양도인과 존속 

 

Ⅴ. 취업규칙 승계여부  

  1. 취업규칙 승계여부 

    (1) 문제점 : 양도인 회사 취업규칙上 근로조건 ~ 규범적 효력(근기법 제97조) 그대로 승계?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  불리한 양수인 회사의 취업규칙 적용 위한 요건 

    (2) 판례 : 승계긍정설

       1) 취업규칙의 승계 : 포괄적 승계 효과 ~ 취업규칙 규범적 효력 가지며 그대로 승계 

       2) 취업규칙 적용 요건 : 집단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(근기법 제94조 제1항) / 집단적 동의권 남용 법리 

       3) 퇴직금차등금지 원칙 위반 여부 : X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