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노무와 인사/노동법

[노동법] 차별적 처우 금지 및 시정 (기간제/단시간/파견 근로자)

by kanzo 2024. 1. 14.
반응형

 kanzo의 신변잡기적 블로그 

노동법 정리 

 
 
 
 

 

노동법 학습 상 중요 부분만 정리 

차별적 처우 금지 

 

Ⅰ. 서설 
   - 기단법 제8조, 파견법 제21조 
   - 헌법 제11조 제1항 : 상대적 평등

 

Ⅱ. 차별적 처우의 금지
  1. 기간제/단시간 근로자 차별 금지 
   (1) 비교대상 근로자 

    1) 의의

      - 기간제 근로자 : 동종/유사업무 정규직 
      - 단시간 근로자 : 동종/유사업무 통상근로자 
     2) 동종/유사업무 판단기준 
       - 실제 수행업무 기준 
       - 주된업무 본질 (업무 범위, 책임, 권한 등)
    (2) 차별금지영역 : 임금, 상여금, 성과금, 복리후생 등 

    (3) 차별적 처우 

       - 의의 : 합리적 이유 없이 불리하게 처우 

       - 불리한 처우 존재 : 비교 대상 근로자를 다르게 처우  ( 항목별 판단 / 범주별 판단 )

       - 합리적 이유 판단 

     2 . 파견근로자에 대한 처우 금지      

      (1) 의의 

         - 기본적으로 기간제/단시간 근로자와 동일 

         - 차이점 : 비교대상 = 사용사업주 사업 내 동종/유사 업무 수행 근로자 

         - 정년 경과 근로 제공 경우도 적용 

       (2) 비교대상 근로자 

          - 기본 : 사용사업주 사업 내 동종/유사 업무 수행 근로자 

          -  정년 경과 파견근로자 

            - 1순위 : 동종/유사업무 정규직 근로자 

            - 2순위 : 정년 경과, 퇴직 후 촉탁직 등 기간제 근로자로 재고용, 동종/유사업무 근로자 

            - 3순위 : 정년 경과 x 동종/유사업무 근로자 

          (3) 차별적 처우 

      3. 차별적 처우 책임 주체 

         - 연대책임설 : 사용사업주 적정임금-실지급 임금 손해배상 책임

         

Ⅲ. 차별적 처우 시정절차 

  1. 의의 : 노동위원회에 시정 신청 가능

  2. 신청기간 : 차별적 처우 있은 날 ~ 6개월 이내 

      - 계속적 차별처우 : 종료일로부터 6개월 이내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반응형

'노무와 인사 > 노동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노동법] 노조법상 사용자  (0) 2024.01.16
[노동법] 노조법상 근로자  (0) 2024.01.15
[노동법] 파견근로자  (2) 2024.01.13
[노동법] 기간제 근로자  (2) 2024.01.08
[노동법] 부당해고 등 구제절차  (0) 2024.01.04